디지털 포렌식이란
휴대폰 포렌식이란
요즘의 메스컴에서는 검찰 조사에 있어서 포렌식 이란 단어가 정말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조립 컴퓨터 PC 부터 시작해서 하드 포맷이나 여러 과정을 거친다고 할지라도 포렌식을 거치게 된다면 자료를 구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데 이게 어떤 기술인데 그렇게 많은 화두가 되고 있는지 궁금해 하실 분들이 있을 것 같아 이번 시간에는 포렌식 이란 뜻 의미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실상..
알기 전에는 뭐 대단한 기술이 등장한 것 처럼 소개 된 것 같은 느낌이 많지만 여러가지 범죄 사건에서 증거를 찾기 위해 실행하는 기술이나 과학적 수단을 포렌식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DNA나 지문 분석 같은 것이 가장 많이 이용 되는 포렌식이여 컴퓨터를 분석하거나 휴대폰으로 증거를 찾는 것 또한 한 가지의 분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용어의 의미는 라틴어의 "공청회"라는 단어에서 의미를 따왔다고 합니다.
국내의 포렌식
한국에서도 디지털 포렌식 팀이 07년도 부터 팀을 꾸리게 되어서 여러가지 수사에 대한 발전이 있었는데요. 대표적으로 디지털 수사과와 과학 1,2 수사과 사이버수사과와 같이 현재는 네 곳의 포렌식과 들이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과학 수사과인 경우에는 DNA 비교와 감정을 하기도 하며 심리 분석이나 화재수사, 멀티미디어를 감정하거나 문서를 확인하는 작업을 맡아 하고 있고 디지털 수사과인 경우엔 네트워크나 전자정보에 대한 수사를 담당합니다.
휴대폰과 PC
결과적으로 포괄적인 의미인 단어인 포렌식 이란 현대사회와 맞춰 보았을 때 컴퓨터와 핸드폰에 대한 수사기법으로 생각하시면 더욱 이해하기가 필요한데요. 방법이 나뉘기는 하지만 포괄적인 의미에서 포렌식이라는 의미는 변하지 않습니다. 만일 핸드폰 포렌식이라고 한다면 휴대폰 내에 있는 메모리카드나 여러가지 자료들을 이용해서 분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PC 포렌식이라고 한다면 외장하드나 여러가지 자료들을 분석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지금까지 포렌식 이란 뜻에 대한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굳이 한국어로 번역을 하자면 공청회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겠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한다면 해당 기기에 대한 과학 수사 라는 정도의 표현으로도 어느 정도 의미가 통하지 않을까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