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미로운글/꿀팁

주공 임대아파트 입주조건 자격

by ***^***** 2020. 8. 4.

주공 임대아파트 입주조건

입주조건 자격 주공임대아파트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것은 의식주 세가지입니다. 그 중에 가장 풀기 어려우면서도 꼭 필요한 것이 바로 살 수 있는 집인데요. 원룸 아파트나 전세매매, 등 여러가지 아파트 구입방법이 있지만 정부지원책으로 임대아파트에 저렴하게 들어가는 방법 또한 있습니다. 공급신청자격이 된다면 신청 해 볼 수 있는데요. 이번에는 주공 임대아파트 임주조건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공급신청자격자

 

가장 먼저 입주조건이 되기 위해서는 세대주여야 하며, 주민등록표상에 기재 되어 있는 비속, 직계존속, 배우자인 경우 무주택세대 구성원이라면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게 됩니다. 월편귱 소득은 도시근로자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70%에 부합 해야 하고 재산이 2억 4천만원 이상 있는 경우라면 신청이 제외되며 이는 건축물과 토지를 합한 재산입니다. 보유한 자동차의 경우에는 2.500만원 이하여야만 가능합니다.

 

임대아파트는 길게는 최장 50년 까지도 생활을 해 볼 수 있지만 그래도 조건에 따라서 기간도 달라지게 됩니다. 한부모 가족이나 국가유공자 등의 경우엔 영구 임대주택을 이용 해 보실 수도 있고 기존 가격의 약 3~40% 정도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잇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신혼부부를 위한 희망타운은 약간 다른 제도이니 따로 찾아보시면 도움이 될 것같아요.

 

공공임대 종류

 

주공 임대 아파트라고 할지라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국민 임대 주택과 5~10년 임대주택 혹은 장기전세 주택 등 정말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에 홈페이지를 참고하셔서 입주조건을 확인 해 보시는 것은 필수입니다. 본인의 상황에 맞는 주거형태를 찾는 것도 중요하고 건평에 따라서 기준도 달라지기 때문에 꼭 확인 해보시는 것이 좋아요.

 

소득 조건은?

 

도시근로자의 월평균 급여의 70%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라면 과연 얼마나 되는지 궁금해 하실 것입니다. 3인 이하 가정의 경우엔 매달 330만원 가량이 되는 것이고, 4인 가구의 경우엔 380만원 이하가 소득기준에 맞게 됩니다. 이런 소득 조건 또한 아파트의 평수에 따라 달라지게 되니 미리 알아두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지금까지 주공 임대아파트 입주조건에 대한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최근에 집값은 정말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어서 돈을 모아서 구매를 하려고 하더라도 정말 구매 할 엄두가 나지 않을 정도로 비싼 것 같습니다. 한 번에 구매하기가 어려우니 그 동안 임시 거처로써 임대주택을 활용한다면 재테크를 하는 것과 별반 다를 것이 없어요.

 

 

반응형